신동원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동원은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로, CJ 엔투스, ROOT Gaming 등에서 활동했다. 2008년 CJ 엔투스에 입단하여 김정우의 뒤를 이어 팀의 에이스 저그로 성장했으며, 피디팝 MSL 2010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한 후에는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와 2016 DreamHack Open: Austin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뛰어난 뮤탈 컨트롤과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하이엔드 저그'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2011년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에서 저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SL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MSL 우승자 - 강민 (프로게이머)
강민은 독창적인 전략과 뛰어난 경기 운영으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하며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우승자 - 강민수 (프로게이머)
강민수는 DreamHack Open: Stockholm,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등에서 우승하고 IEM Season IX - Shenzhen 등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우승자 - 문성원
문성원은 과거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GSL 우승 및 준우승, 국제 대회 우승 등의 기록을 세웠고, 은퇴 후 복귀하여 현재는 e스포츠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유대현
유대현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최강 우주방어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GO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군 복무 후에는 다양한 방송에서 스타크래프트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가 및 캐스터로 활동했다.
신동원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프로게이머 정보 | |
이름 | 신동원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91년 9월 4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 |
랭킹 | 11 |
종족 | 저그 |
아이디 | By.Hydra |
별명 | 참치, 하이엔드 저그, 우스운자, 하후돈 저그, 올해의 저그/작년의 저그 |
소속팀 | ROOT Gaming |
좌우명 | 항상 최선을 다하자 |
2. 선수 경력
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CJ 엔투스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이후 심각한 부진에 빠졌고, KeSPA 랭킹이 40~50위권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2. 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데뷔 초반에는 웅진 스타즈로 이적한 김준영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하였다. 이후 하이트 엔투스로 팀명이 변경되면서 은퇴한 동료인 김정우의 뒤를 이은 팀의 에이스 저그로 성장하였다. CJ ENTUS의 저그는 마재윤-김준영-김정우-'''신동원'''의 계보로 이어진다고 평가받는다.신동원은 왼쪽 눈의 시력이 좋지 않아 오른쪽 눈으로만 게임을 하다가, 결국 오른쪽 눈에 렌즈를 착용하게 되었다. 렌즈 착용 후 실력이 급상승하여, 이제동의 부진과 맞물려 저그 랭킹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피디팝 MSL 2010 4강에서 이제동을 3:2로 꺾고 결승에 진출, 차명환을 3:1로 꺾고 우승하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최후의 저그 우승자라는 타이틀을 얻었다.[1]
ABC마트 MSL 2011 조지명식에서는 준우승자 차명환과 함께 이영호, 이제동, 김택용, 염보성을 D조에 편성하여 '죽음의 조' 논란이 있었다. 이후 4강까지 진출했으나, 이영호에게 3:0으로 패배하였다.
2. 2. 스타크래프트 II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한 후, 팀 내 랭킹전에서 1위를 기록했고,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2라운드에서 STX 소울의 신대근, 이신형, 조성호, 김성현을 차례로 꺾으며,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사상 최초의 저그 올킬이자, 유일한 저그 올킬을 달성했다.[1] 이로 인해 다승 2위에 오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2014년 9월 12일, CJ 엔투스는 공식 SNS를 통해 신동원과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고,[1] 9월 25일, 신동원은 ROOT Gaming에 입단했다.[1]
2015년 6월 29일, 캐나다 토론토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 결승전에서 우승하면서, 스타크래프트 II 전향 이후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 이로써 신동원은 이제동, 이영호, 박지수에 이어 네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개인리그 우승자 출신이자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우승자가 되었으며, 브루드워 우승자 출신으로는 최초로 WCS 우승을 달성했다.[1]
신동원은 2013년 1월 14일, STX 소울과의 경기에서 선봉으로 출전해 신대근, 이신형, 조성호, 김성현을 모두 꺾고 생애 첫 선봉 올킬을 기록했다.
경기일 | 상세 내용 |
---|---|
2013년 1월 14일 | 신동원 승 vs 신대근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2R) |
2013년 1월 14일 | 신동원 승 vs 이신형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2R) |
2013년 1월 14일 | 신동원 승 vs 조성호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2R) |
2013년 1월 14일 | 신동원 승 vs 김성현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2R) |
이영호, 정명훈, 염보성 등 여러 선수들과 경기를 펼쳤다. 특히 이제동과는 피디팝 MSL 2010 4강에서 명승부를 펼치는 등 여러 차례 접전을 벌였다.[1] 김택용에게는 공식전과 비공식전을 합쳐 상대 전적에서 앞서고 있다.[1]
3. 주요 선수들과의 전적
상대 선수 전적 승 패 비고 이영호 3:7 3 7 열세[1] 정명훈 2:6 2 6 열세[1] 염보성 1:3 1 3 열세[1] (비공식전 포함 1:4[1]) 김성대 1:5 1 5 열세[1] (비공식전 포함 2:5[1]) 이제동 5:7 5 7 열세[1] 김택용 1:1 1 1 호각세 (비공식전 포함 2:1, 우세) 김윤환 5:2 5 2 우세[1] (비공식전 포함 7:2[1]) 임정현 1:3 1 3 열세[1] 신대근 5:2 5 2 우세 김도우 3:2 3 2 우세 (비공식전 포함 4:2[1]) 이영한 2:3 2 3 열세[1] 이성은 1:0 1 0 우세 (비공식전 포함 2:4, 열세[1]) 박종수 0:5 0 5 열세[1] 신노열 1:5 1 5 열세 송병구 5:3 5 3 우세
3. 1. 이영호
이영호에게 상대전적 3:7로 열세이다.[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하이트전 7세트에서 이영호에게 첫 패배를 당했고, ABC마트 MSL 2011 4강 B조 경기에서 셧아웃을 당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1] 이후 6라운드 하이트전 1세트에서 승리하며 설욕했지만,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B조 1경기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5라운드 KT전 3세트에서 다시 패배했다.[1] 그러나 2014 WCS KOREA S2 코드A에서 2:0으로 승리하며 반격에 성공하는 듯 했으나,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KT전 3세트에서 패배했다.[1]
3. 2. 정명훈
두 선수는 절친한 친구 관계로 많이 알려져 있다. 상대 전적은 2:6으로 신동원이 밀리고 있다.[1]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강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처음 만나 신동원이 승리했고,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에서 정명훈이 승리하였고,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준결승에서 분전했지만 신동원이 1:3으로 패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1라운드 CJ전 7세트에서도 승리하면서 상대전적은 2:6이 되었다.[1]
3. 3. 염보성
염보성에게는 다소 약한 모습을 보였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와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 염보성에게 패배하며 0:3으로 밀렸으나,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에서 승리하며 전패를 끊었다. 공식전 상대전적은 1:3,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1:4로 열세이다. 염보성의 은퇴로 더 이상 맞붙을 수 없게 되었다.[1]
3. 4. 김성대
김성대에게는 상대 전적이 1:5로 열세이다. 첫 만남은 비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무렵의 2009 2군 평가전(KeSPA 드림리그) 이스트로전 5세트였고, 이때는 신동원이 승리했다. 공식전 첫 만남은 빅파일 MSL 2010 32강 C조 2경기로, 신동원이 패했다.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KT전 1세트에서 패배, 3라운드 KT전 1세트에서 승리, 4라운드 KT전 4세트에서 패배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1라운드 KT전 1세트와 2라운드 KT전 4세트에서도 패배했다.[1]
3. 5. 이제동
이제동과 신동원은 여러 차례 명승부를 펼쳤다. 상대 전적은 5:7로 신동원이 열세에 있지만, 피디팝 MSL 2010 4강에서 3:2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1]
3. 6. 김택용
김택용과의 상대 전적은 공식전 1:1, 비공식전 포함 2:1로 신동원이 앞서있다. 첫 만남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SK텔레콤전 2세트였는데, 접전 끝에 김택용이 승리했다. 하지만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SK텔레콤전 4세트에서 당시 저그전 16승 1패를 기록 중이던 김택용을 완벽한 판단과 경기력으로 잡아내며 이후 어윤수, 도재욱을 연달아 꺾고 팀에 승리를 안겨주었다. 이로써 상대 전적은 1:1 동률이 되었다. 이후 둘은 공식전에서는 한 번도 만나지 않았지만,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더 스페셜에서 신동원이 김택용을 잡아내면서 비공식전에서만 2:1로 앞서게 되었다.
3. 7. 김윤환
김윤환에게는 매우 강세를 보인다. 상대 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5:2로 우세하고,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7:2로 더욱 우세하다. 첫 만남은 비공식전인 바투 스타리그 08-09 예선 X조 8강으로, 2:0으로 승리했다. 공식전에서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 STX전 3세트에서 승리했으나, 빅파일 MSL 2010 32강 C조 패자전에서는 패하며 2연패로 탈락했다.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STX전 5세트에서 다시 패배했다. 그러나 피디팝 MSL 2010 32강 E조 승자전에서 김윤환을 꺾고 16강에 진출했으며, 8강 B조 경기에서 다시 만나 3:0으로 셧아웃시키고 4강에 진출했다.[1]
3. 8. 임정현
임정현에게 약세이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라운드 웅진전 2세트에서는 신동원이 승리했지만, 5라운드 KT전 6세트에서 패배한 이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3차전 KT전 4세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1라운드 KT전 전반 3세트까지 모두 패하며 임정현에게 3연패 중이다. 상대 전적은 1:3으로 열세이다.[1]
3. 9. 신대근
신대근과의 상대 전적은 5:2로 우세하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이스트로전 1세트에서는 신동원이 승리했지만, 5라운드 이스트로전 3세트에서는 패배했다. 그러나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STX전 4세트, 티빙 스타리그 2012 16강 C조 3경기와 재경기 3경기에서 신동원이 승리했다. 하지만 16강 재경기 C조 6경기에서는 패배했다. 이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2라운드 STX전 1세트에서 다시 신동원이 승리했다.
3. 10. 김도우
김도우에게도 강세다. 첫 만남은 비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무렵 열린 2군 평가전 이스트로전 2세트였는데, 이때 신동원이 승리했다. 공식전 첫 만남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라운드 STX전 3세트였으며, 여기서도 신동원이 승리했다. 피디팝 MSL 2010 16강 B조 경기에서는 2:0으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에서는 1라운드 SKT전 2세트와 3라운드 결승전 SKT전 6세트에서 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 전적은 공식전 3:2, 비공식전 포함 4:2로 신동원이 우세하다.
3. 11. 이영한
이영한과의 전적은 2:3으로 열세이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 위메이드전 2세트와 5라운드 위메이드전 3세트에서 모두 패하면서 0:2로 뒤지고 있었으나,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B조 3경기에서 승리하면서 상대 전적에서 처음으로 승리하였고,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삼성전자전 1세트에서 다시 승리하면서 상대 전적이 2:2 동률이 되었다. 하지만 티빙 스타리그 2012 16강 C조 5경기에서 이영한에게 다시 패배하였다.[1]
3. 12. 이성은
이성은과의 상대 전적은 공식전 1:0, 비공식전 포함 2:4로 열세이다.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예선 3조 4강에서 1:2로 패하며 탈락했고, 다음날 에버 스타리그 2009 예선 V조 4강에서도 0:2로 셧아웃당하며 탈락했다. 그러나 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공군전 1세트에서는 신동원이 승리했다.[1]
3. 13. 박종수
박종수만 만나면 패배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 전적은 0:5로 열세이다.[1] 비공식전에서 4차례, 공식전에서 한 차례 만났다.[1]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2 128강에서 0:2 완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예선 J조 8강에서 0:2로 완패하며 탈락했고, 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라운드 STX전 2세트에서도 패했다.[1] 박종수는 현재 코치로 활동하고 있어 다시 만날 가능성은 희박하다.[1]
3. 14. 신노열
상대 전적은 1:5로 열세이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위메이드전 1세트에서 처음 만나 신노열에게 패했다. 그러나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위메이드전 5세트에서는 설욕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1라운드 삼성전자전 3세트, 결승전 삼성전자전 5세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2라운드 삼성전자전 7세트, 5라운드 삼성전자전 3세트에서 패하며 현재 신노열전 4연패 중이다.
3. 15. 송병구
송병구와의 상대전적은 5:3으로 우세하다. 하나대투증권 MSL 2010 32강 E조 2경기에서는 승리했으나,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라운드 삼성전자전 1세트와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삼성전자전 4세트에서는 패배했다. 그러나 ABC마트 MSL 2011 16강에서는 2:1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고,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B조 6경기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3라운드 삼성전자전 1세트에서도 승리하며 송병구전 3연승을 기록했다. 프로리그에서는 송병구에게 승리 없이 패배만 기록했었고 개인리그에서만 4:1로 크게 앞섰으나,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3라운드 승리로 프로리그 송병구전 전패 기록이 끝났다.
4. 플레이 스타일
뛰어난 뮤탈 컨트롤과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하이엔드 저그'라는 별명을 얻었다.[1] 하지만 본인은 이 별명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는데, 이는 신동원이 컨트롤보다 운영에 더 뛰어난 편이기 때문이다.[1] 한쪽 눈의 시력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어 '하후돈 저그'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1]
5. 논란
신동원은 ABC마트 MSL 조지명식에서 이른바 '죽음의 조'를 편성하여 논란이 되었다.[1] 당시 D조에는 이영호, 이제동, 염보성, 김택용 등 강한 선수들이 몰려 있었다.[1] 이로 인해 신동원은 '우스운자'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1]
6. 주요 기록
신동원은 메이저 개인리그에서 1회 우승했고,[2]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2회 우승과 1회 준우승을 기록했다.[3]
연도 | 대회명 | 결과 | 비고 |
---|---|---|---|
2007년 | 제36회 커리지 매치 | 우승 | |
2008년 | 엘리트 학생복 스쿨리그 2007 | 3위 | 성지고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 16강 | |
2010년 | 하나대투증권 MSL 2010 | 16강 |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 16강 | |
2010년 | 빅파일 MSL 2010 | 32강 | |
2010년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 16강 | |
2011년 | 피디팝 MSL 2011 | 우승 | 3:1 차명환 |
2011년 | ABC마트 MSL 2011 | 4강 | |
2011년 |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3위 | |
2012년 | Tving 스타리그 2012 | 16강 | |
2013년 | IEM Season VIII - Singapore | 3위 | |
2014년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Global | 4위 | |
2015년 | Gfinity Spring Masters I | 준우승 | vs 2:4 원이삭 |
2015년 | 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 | 준우승 | vs 3:4 최성훈 |
2015년 | Gfinity Spring Masters II | 준우승 | vs 1:4 강민수 |
2015년 |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 | 우승 | vs 4:2 Lilbow |
2015년 | Hell, It's Aboot Time | 4위 | |
2016년 | 2016 WCS Circuit: Winter Circuit Championship | 4강 | |
2016년 | 2016 DreamHack Open: Austin | 우승 | vs 4:2 Neeb |
2011년 12월 2011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저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6. 1. 통산 전적
상대 | 경기 | 승-패 | 승률 |
---|---|---|---|
대 테란 | 64 | 29-35 | 45.3% |
대 저그 | 115 | 65-52 | 54.8% |
대 프로토스 | 67 | 45-22 | 67.2% |
총합 | 246 | 137-109 | 55.7% |
6. 2. 개인 경력
신동원은 메이저 개인리그에서 1회 우승했고,[2]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2회 우승과 1회 준우승을 기록했다.[3]6. 2. 1. 스타크래프트
2011년 2월 12일에 열린 피디팝 MSL 2010 4강에서 이제동을 상대로 접전 끝에 3:2로 꺾는 파란을 연출하였고, 일주일 뒤 결승에서도 차명환을 3:1로 꺾고 생애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는 브루드워로 치러진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에서 우승한 최후의 저그이다.[1]신동원은 피디팝 MSL 2010에서 우승하며 스타크래프트1:브루드워로 진행된 개인리그 최후의 저그 우승자라는 값진 타이틀을 얻었다. 참고로 최후의 테란 우승자는 이영호이고, 프로토스는 허영무이다. 허영무는 최후의 개인리그 우승자이기도 하다.
2007년 12월 제36회 커리지 매치 우승 |
2008년 2월 엘리트 학생복 스쿨리그 2007 3위 (성지고) |
2010년 2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36강 |
2010년 2월 하나대투증권 MSL 2010 16강 |
2010년 7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16강 |
2010년 7월 빅파일 MSL 2010 32강 |
2010년 10월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
2011년 2월 피디팝 MSL 2011 우승 (3:1 차명환) |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 4강 |
2011년 6월 진에어 스타리그 2011 3위 |
2012년 6월 Tving 스타리그 2012 16강 |
6. 2. 2. 스타크래프트 II
StarCraft II|스타크래프트 II영어 전향 이후, 신동원은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에서 우승하며 첫 개인리그 우승을 달성했다.[1] 이는 이제동, 이영호, 박지수에 이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개인리그 우승자 출신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에서 우승한 네 번째 사례이며, 브루드워 우승자 출신으로는 최초로 WCS 우승을 차지한 기록이다.[1]신동원의 주요 스타크래프트 II 개인리그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명 | 결과 | 비고 |
---|---|---|---|
2013년 | IEM Season VIII - Singapore | 3위 | |
2014년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Global | 4위 | |
2015년 | Gfinity Spring Masters I | 준우승 | vs 2:4 원이삭 |
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 | 준우승 | vs 3:4 최성훈 | |
Gfinity Spring Masters II | 준우승 | vs 1:4 강민수 | |
2015년 |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 | 우승 | vs 4:2 Lilbow |
2015년 | Hell, It's Aboot Time | 4위 | |
2016년 | 2016 WCS Circuit: Winter Circuit Championship | 4강 | |
2016 DreamHack Open: Austin | 우승 | vs 4:2 Neeb |
6. 3. 협회 수상
2011년 12월 2011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저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참조
[1]
웹인용
"[신동원 우승] 저저전 최강자 등극"
http://www.dailyespo[...]
데일리게임
2020-06-15
[2]
문서
MSL 1회 우승
[3]
문서
WCS 1회 우승, 1회 준우승. 드림핵 1회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